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특구재단, 산·학·연과 함께 반도체 산업 전주기 협력 체계 구축 나선다
  • 이광호
  • 등록 2025-04-10 09:08:08
기사수정

특구재단, 산·학·연과 함께 반도체 산업 전주기 협력 체계 구축 나선다


- KAIST, SK에코플랜트 등 11개 기관 업무협약 

- 반도체 기술개발 및 산업 생태계 조성 사업화까지 전주기 협력


특구재단 등 11개 기관의 협약식 모습. (자료제공: 특구재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이사장 정희권, 이하‘특구재단’)은 4월 8일, 대전 한남대학교 56주년 기념관에서 SK에코플랜트, KAIST, 한남대학교, 한국과학기술지주, SK증권 등 총 11개 기관과 함께 반도체 기술개발 및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 공공기관을 대표하는 주요 기관들이 참여해 반도체 종합서비스 분야 유망 창업기업을 발굴 및 육성, 민관 협력 기반의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데 뜻을 모았다.


업무협약 기관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SK에코플랜트, KAIST, 한남대학교, 호서대학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지주, SK증권,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시너지아이비투자, 이앤벤처파트너스 등 11개 기관이다.


협약을 체결한 기관들은 ▲반도체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공동협력 ▲반도체 종합서비스 혁신기업 발굴 및 성장 지원 ▲반도체 분야 창업기업의 발굴‧육성을 위한 투자유치 연계 지원 등을 위해 함께 협력한다.


특히 특구재단은 이번 협약을 통해 반도체 산업에 특화된 기술을 발굴하고, 대기업·공공기관·연구기관과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반도체 산업 선순환 생태계 조성에 적극 기여할 계획이다.


이뿐만 아니라 특구재단은 2023년부터 SK에코플랜트와 ‘에코 오픈 플랫폼’을 공동 운영해왔으며, 올해부터는 협력 범위를 기존의 친환경 분야 중심에서 반도체 산업 전반으로 확대해 ‘반도체 산업 특화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으로 새롭게 추진할 예정이다.


본 프로그램은 SK에코플랜트의 반도체 종합서비스 분야 혁신기술이 중심으로 ▲EPC 생산성 제고 ▲용수처리 고도화 ▲부산물 재활용 등과 관련된 반도체 기술 발굴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은 기술개발 단계와 사업화 단계로 나누어 운영하며, 기술개발 단계에서는 기술 발굴부터 공동기술개발까지, 사업화 단계에서는 정부자금과 외부 투자금 유치를 돕는다.


특구재단 정희권 이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그동안 특구재단 중심으로 추진해오던 활동을 산·학·연·관 등 다양한 주체와의 협력으로 확대함으로써 더 큰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밝히며 “특구 내 유망 딥테크 기업들이 대기업 및 공공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혁신 성장을 이루고, 반도체 산업의 선순환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전방위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Ceramic Korea (세라믹뉴스)=이광호 ]

 

기사를 사용하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www.cerazine.net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세로형 미코
03미코하이테크 large
세로형 한달코
02이삭이앤씨 large
오리엔트
미노
삼원종합기계
진산아이티
케이텍
해륭
대호CC_240905
EMK 배너
01지난호보기
월간도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