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로고

Top
기사 메일전송
시속 1,200km 꿈의 초전도세라믹 부상 열차 ‘하이퍼튜브’ 기술개발 본격 착수
  • 이광호
  • 등록 2025-04-09 16:07:32
  • 수정 2025-04-09 16:08:50
기사수정

시속 1,200km 꿈의 초전도세라믹 부상 열차 ‘하이퍼튜브’ 기술개발 본격 착수


- 올해부터 3년간 총 사업비 127억원 투입

- 4개 세부 기술 개발 및 검증 

- 내실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TF도 구성·운영


하이퍼튜브 시스템 개념도. (자료제공: 국토교통부)


정부가 올해를 K-하이퍼튜브의 원년으로 삼고, 철로 위 비행기, 하이퍼튜브 열차의 핵심기술 연구개발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차세대 초고속 육상 교통수단, 하이퍼튜브 핵심기술인 초전도세라믹 자기부상 추진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 한다고 4월 8일 밝혔다. 


총사업비 127억원(`25년 36.8억원) 사업기간 2025~2027까지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주관연구기관으로 추진한다.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0.001~0.01 기압) 튜브 속에서 초전도 세라믹 자기 부상 기술로 열차를 띄워, 열차와 선로 간의 전자기력을 이용해 열차를 강하게 밀어 초고속으로 이동시키는 미래형 교통 시스템이다.


하이퍼튜브는 비행기보다 빠르고, 친환경적이며, 기상 영향을 적게 받는 교통수단으로 꼽힌다.


특히, 1,200km/h 가까이 주행 가능한 철도로서, KTX(시속 300km/h)는 서울역에서 부산역까지 1시간 52분(무정차 운행 기준)이 소요되는 것에 반해, 같은 거리를 20분 이내에 주파할 수 있어 지역 간 연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꿈의 교통 시스템이다.


하이퍼튜브의 초격차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차량을 고속 주행시키는 ⓵자기부상·추진 기술, 극한의 아진공 환경(0.001~0.01 기압)을 유지하는 주행 통로인 ⓶아진공 튜브 설계·시공 기술, 아진공으로부터 객실 기밀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승차감을 제공하는 ⓷차량 설계·제작 기술 등이 요구된다.


이번 연구개발 내용은 자기부상·추진 기술 개발에 해당하며, 하이퍼튜브 전용 선로, 초전도 전자석 시스템, 주행 제어 기술, 차체 설계·제작 등 4가지 세부 기술 개발을 통해 차량의 부상·추진을 검증할 계획이다.


또한, 내실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철도국장을 위원장으로 세부기술 분야별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하이퍼튜브 핵심기술 개발 사업 추진 TF’를 운영하여 주기적으로 연구개발 성과를 점검한다.


국토교통부 윤진환 철도국장은 “이번 연구개발은 철로 위 비행기, 하이퍼튜브 기술의 첫 발걸음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사업으로, 지역 균형발전과 인구 절벽으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우리나라는 불과 20년 전 고속철도 수입국에서 자체 기술 개발에 성공하여 수출하는 국가로 도약함으로써 우리 기술의 우수성과 경쟁력을 세계에 입증하였다”며 “하이퍼튜브라는 ‘꿈의 철도’ 기술 개발로 글로벌 철도 경쟁 시장을 주도하고 세계 각지로 뻗어나가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Ceramic Korea (세라믹뉴스)=이광호 ]


<자세한 내용은 5월 1일 발행하는 세라믹코리아 2025년 5월호를 참조바랍니다. 정기구독하시면 지난호보기에서 PDF 전체를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기사를 사용하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s://www.cerazine.net

 

0
회원로그인

댓글 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세로형 미코
03미코하이테크 large
세로형 한달코
02이삭이앤씨 large
오리엔트
미노
삼원종합기계
진산아이티
케이텍
해륭
대호CC_240905
EMK 배너
01지난호보기
월간도예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