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자 청화 용무늬 전접시
- [문화재 돋보기(21)] 백자 청화 용무늬 전접시白磁靑畵雲龍紋楪匙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문화재 평론가「백자 청화 용무늬 전접시白磁靑畵雲龍紋楪匙」 조선시대 | 높이 2.8cm 입지름 22.8cm 굽지름 12...
- 2022-12-29
-
- 분청사기 상감 용무늬 자라병
- 분청사기 상감 용무늬 자라병粉靑沙器象嵌雲龍文扁甁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문화재 평론가「분청사기 상감 용무늬 자라병 粉靑沙器象嵌雲龍文扁甁」 조선시대 | 높이:12.5cm 입지름:4cm 바닥지...
- 2022-11-29
-
- 분청사기 상감 풀꽃무늬 장군
- 분청사기 상감 풀꽃무늬 장군粉靑沙器 象嵌 草花文 獐本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문화재 평론가 삼국시대 도기로 만들기 시작한 장군병은 조선시대에는 자기와 도기, 옹기 등 다양한 재질과 크기로 ...
- 2022-10-28
-
- 미국 CERAMICS EXPO 2022 참관기 / 이종영
- 미국 CERAMICS EXPO 2022 참관기
- 쇠퇴한 도시에서 새로운 산업을 바라보다
이종영_(재)강릉과학산업진흥원 강원과학기술진흥센터 센터장
<한국관앞에서 참가자들 기념촬영>
인천공항 출국
2022년 8...
- 2022-10-28
-
- 백자 해치모양 계영배
- [문화재 돋보기18] 백자 해치모양 계영배白磁獬豸形戒盈盃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문화재 평론가 계영배(戒盈盃)는 ‘술잔에 술이 가득 차는 것을 경계한다.`는 의미로 절주배(節酒盃)라고 부르기도 ...
- 2022-09-27
-
- 분청사기상감 모란무늬 작은 편병
- [문화재 돋보기 17] 분청사기상감 모란무늬 작은 편병粉靑沙器象嵌牧丹文小扁甁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문화재 평론가「분청사기상감 모란무늬 작은 편병 粉靑沙器象嵌牧丹文小扁甁」 조선시대. ...
- 2022-08-29
-
- 청자상감 쌍해치모양 베개
- [문화재 돋보기 16]청자상감 쌍해치모양 베개靑磁象嵌 雙獬豸形 枕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문화재 평론가 베개는 일상생활의 필수요소로 밤에 숙면을 취하거나 잠시 낮잠을 잘 때도 쓰이는 생활 도구...
- 2022-07-28
-
- 백자청화 꽃넝쿨무늬 합
- [문화재 돋보기⑮] 백자청화 꽃넝쿨무늬 합白磁靑畵 寶相唐草文 盒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 문화재 평론가「백자청화 꽃넝쿨무늬 합 白磁靑畵 寶相唐草文 盒」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1cm 입지름 18cm ...
- 2022-06-30
-
- Color of Ceramics_김형준
- [기고]Color of Ceramics 김형준_한국세라믹기술원 수석연구원 최근에 바이오산업 분야에서 흥미로운 일을 했다. ‘화이트바이오 산업 활성화 전략’[(화이...
- 2022-06-30
-
- 백자동화 포도무늬 항아리
- [문화재 돋보기⑭]백자동화 포도무늬 항아리白磁銅畵葡萄文壺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 문화재 평론가 사진1.「백자동화 포도무늬 항아리(白磁銅畵葡萄文壺)」 조선시대. 높이 37cm, 입지름 12cm 바닥지...
- 2022-05-30
-
- 청자 나한좌상
- [문화재 돋보기⑬]청자 나한좌상靑磁 羅漢坐像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 문화재 평론가사진1.「청자 나한좌상靑磁 羅漢坐像」 고려시대. 높이12.5cm, 바닥 지름10cm. 나한(羅漢)은 산스크리스트어 아르하(...
- 2022-04-27
-
- 백자 청화 기린무늬 향로
- [문화재 돋보기⑫] 백자 청화 기린무늬 향로白磁靑畵麒麟文香爐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 문화재 평론가 사진1.「백자 청화 기린무늬 향로白磁靑畵麒麟文香爐」 조선시대. 높이25cm, 입지름 16cm. 경기도...
- 2022-03-29
-
- 청자 오리모양 연적
- [문화재 돋보기⑪] 청자 오리모양 연적靑磁銅畵 鴨形 硯滴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 문화재 평론가사진1. 「청자 오리모양 연적」고려시대. 길이 :13cm, 높이 :9cm 고려시대 공예품에 유행하던 물가풍경 ...
- 2022-03-03
-
- 세라믹산업협력단 사업 성과에 대한 소고/양희춘
- 세라믹산업협력단 사업 성과에 대한 소고
양희춘_한국세라믹연합회 세라믹산업협력단 단장
Ⅰ. 들어가는 말
정부에서 추진한 「소재·부품·장비 산업협력단」이 2020년 8월에 발족하였고 2022년 1월...
- 2022-03-03
-
- 문화재 돋보기10_청자 장미장식 벼루
- [문화재 돋보기⑩] 청자 장미장식 벼루靑磁薔薇裝飾硯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 문화재 평론가「청자 장미장식 벼루 靑磁薔薇裝飾硯」 고려시대 | 가로 13cm, 세로 10cm, 높이 5cm벼루를 만드는 재료는 대...
- 2022-01-27
-
- 백자투각 모란무늬 필통
- [문화재 돋보기⑨] 백자투각 모란무늬 필통白磁透刻牧丹文筆筒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 문화재 평론가 사진1 「백자투각 모란무늬 필통白磁透刻牧丹文筆筒」 조선시대 15세기~16세기. 높이 17cm. 입지...
- 2021-12-29
-
- 백자상감 용 구름무늬 병
- [문화재 돋보기⑧]백자상감 용 구름무늬 병白磁象嵌雲龍文甁 글_김대환 상명대 석좌교수, 문화재 평론가 고려왕조에서 조선왕조로 바뀌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고 생활과 ...
- 2021-12-01
-
- 글로벌 세라믹기술 로드맵 구축사례 (2) - 일본
- 글로벌 세라믹기술 로드맵 구축사례 (2) - 일본
이준영_한국세라믹연합회 전무이사
1. 서론 세라믹은 무기 고체 재료의 총칭이며, 예로부터 도자기와 같이 인간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없어서는 ...
- 2021-11-02